박물관 소개The introduction of the museum

문화재 다량소장처 보존관리 Survey

조사, 연구 배경

문화재가 다량으로 소장된 사찰 등의 관리처에는 우리겨레의 역사와 숨결이 깃든 방대한 양의 문화유산들이 보관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소중한 문화유산들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보존시설의 필요성과 관리자 기본 소양에 대한 개선 등이 점차 요구되었다.

목적

본 사업은 문화재가 다량으로 소장되었으나 운영여건이 열악한 사찰 등의 문화재 보존시설을 지원하여, 소중한 문화재가 적정한 보존환경에서 올바르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내용

  • 경상경비 지원
    - 정기점검을 통한 시설 운영 현황 및 기본자료 확보
    - 전시실, 수장고 환경정비를 통하여 노후화된 보존관리 시설 개선
    - 유물 관리에 필요한 경상비(항온항습 운영 전기세) 지원
  • 비지정문화재 보존관리 및 예방적 관리
    - 문화재 다량소장처 소장 중요 비지정문화재의 추가 훼손방지 및 보존처리 실시
    - 멸실 위기에 처한 중요 비지정문화재의 가치 발굴 및 활용성 제고
  • 소장자‧관리자 교육
    - 문화재 소장자 및 관리자들의 기본 및 전문 교육을 통해 전문성 향상과 업무능력 강화
    - 문화재 다량소장처 소장자 및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유물관리 교육 진행 (연 3회)
  • 성보문화재보존관리시스템
    - 표준화된 등록 기준을 통해 문화재 다량소장처에 산재되어 있는 소장유물의 온라인 등록 및 통합관리 시행
    - 향후 훼손되거나 소실되었을 경우, 원형복원의 기초자료와 학술자료로 활용
    - 아카이브 형태의 검색시스템을 통해 연구자와 일반 대중들을 대상으로 대국민 서비스 제공
  • 거점 문화재 다량소장처 학예인력 배치
    - 문화재 다량소장처 전문 인력 지원을 통한 관리 운영 안정화
    - 수장환경 및 유물에 관련한 일상 관리 능력 배양 및 확대

방법

    [다량소장처 경상경비 지원]
  • 문화재 다량소장처 정기점검
  • 정기점검 결과에 따른 환경정비 대상을 선정하여 개선 시행
    - 전시환경개선, 수장환경개선, 유물등록지원, 응급안전조치 등
  • 유물관리 기본 조건인 항온항습 운영비(전기세) 지원
    - 지원대상 :
    단독 계량기를 설치한 문화재 다량소장처
    - 선정기준 :
    준공허가 받은 다량소장처에 한함
    (지방자치단체 등 전기세 중복 지원 제외)
  • [비지정문화재 보존관리 및 예방적 관리]
  • 비지정문화재의 인문학적·과학적 조사 및 상태진단, 보존처리 등 적극적인 보존관리를 통한 손상예방과 수명연장
  • [다량소장처 소장자‧관리자 교육]
  • 연 3회 시행
    - 문화재 다량소장처 소장자 및 관리자 대상의 기본교육 1회
    - 문화재 다량소장처 관리자 및 학예사 대상의 학예전문교육 1회
    - 문화재 다량소장처 소장자 및 관리자 대상의 현장교육 1회
  • [성보문화재보존관리시스템]
  • 문화재 다량소장처에 산재되어 있는 소장유물의 온라인 등록 및 통합관리
  • [거점 다량소장처 학예인력 배치]
  • 권역별(서울·경기도·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거점 다량소장처’에 학예인력 배치
    - 지원기준 : 학예사자격증 소지자
    - 문화재 다량소장처 학예업무 전반
    - 유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구축

수장환경 정비

  • 유물 점검·이물질 제거
  • 유물 실측 및 포장
  • 유물 목록 검토, 작성

문화재 다량소장처 소장자 및 관리자 교육

  • 전문가 교육
  • 소장자 및 관리자 교육
  • 실습